가톨릭교리

[스크랩] 가톨릭 일반 교리 종합 문제풀이(169-2) (37-72)

사랑의 기쁨 2012. 12. 7. 15:07

가톨릭 일반 교리 종합 문제풀이(169-2) (37-72)

        
37. 예수님이 세운 교회의 속성은? 
         <답>보편성, 유일함, 거룩함.
 
38. 한국 천주교회가 박해를 받은 이유는? 
         <답> 유교의 양반사상과 천주교의 평등사상과의 갈등, 조상 제사 문제 등에 대한 견해 차이,

                   당 파벌에 의한 정치적 갈등
 
39. 병인박해가 일어난 해는? 
       <답> 1866년.
 
40. 김 대건(안드레아) 신부님의 출생 연도와 장소는? 
        <답> 1821. 8.21 (솔뫼에서)
 
41. 김 대건(안드레아)신부님의 본관은? 
       <답> 김해 김씨

 
42. 신앙인의 가장 숭고한 행위는? 
        <답> 순교
 
43. 우리 나라 최초로 신학교가 세워진 곳은? 
       <답> 배론
 
44. 순교성인 103위 중 순교 성녀는 몇 분? 
       <답> 47명
 
45. 순교성인 103위 외에 4대 박해동안 총 순교자는 몇 분? 
        <답>  만 여명
 
46. 103위 시성식이 거행되어진 해는? 
         <답> 1984년
 
47. 부모는 아기의 출생 후, 될 수 있는 대로 빨리 세례를 받게해야 한다.

      적어도 며칠 이내에 세례를 받도록 해야 할까? (교회법전 제47조) 
       <답> 100일.
 
48. 개신교에서 그 교회 교역자가 집전한 세례는 천주교회에서는 유효한가? (한국교회법전 제58조, 59조) 
      <답> 성공회의 성직자가 집전한 세례는 유효한 것으로 인정한다.

               성공회 이외의 기타 개신교 교파의 교역자가 집전한 세례는 그 유효성이 의심된다.

               그러므로 가톨릭으로 입교하는 경우에는 이미 받은 세례의 의심되는 이유를 밝힌 다음, 조건부 세례를 준다.
 
49. 견진을 받을 수 있는 나이는 만 몇 살이 되어야 하는가? 
     <답>  만 12세 이상
 
50. 사제는 사목상 필요한 경우, 평일 미사를 몇 번까지 집전할 수 있는가? (교회법전 제71조) 
     <답> 세 번까지
 
51. 사제는 사목상 필요한 경우, 주일과 의무축일에는 미사를 몇 번 집전할 수 있는가? 
     <답>  네 번까지
 
52. 주일과 의무축일에 미사참례의 의무를 이행할 수 없는 신자는 무엇으로 대신 하는가? 
      <답> 공소예절에 참례하면 된다.
 
53. 미사보는 왜 쓰며, 또 어느 때 쓰는가? 
      <답> 초대 교회에서부터 전해오는 관습으로 세속적인 사치와 허영을 나타내는 머리를 가리우는

                정숙과 여성으로서 교회내에서의 자숙과 겸손을 나타내기 위하여 쓰며,

                미사를 비롯한 교회의 전례중에 쓴다.
 
54. 전례 기도란 무엇인가? 
     <답>  그리스도의 사제직을 계속 수행하는 교회가 그리스도와 함께 드리는 공적 예배이다.

                전례기도가 되기 위해서는
        ⑴교황청이 인준한 기도문을 사용해야 하며, 
        ⑵교회이름으로 행하여야 하며,
        ⑶정식으로 임명된 사람이 전례지도를 해야 한다.
           보기 : 미사, 성사, 성무일도 등
 
55. 성사 중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은? 
        <답> 성체성사
 
56. 영구적인 인호를 주는 성사는? 
         <답> 성세, 견진, 성품(신품)성사
 
57. 죄인이 받는 성사는? 
     <답> 성세성사와 고백성사.
 
58. 천국의 전화번호는? 
    <답>  73-4627(신·구약성서를 연상)
 
59. 성체성사를 받아 모시기 위하여 우리는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답> 대죄 있으면 고백성사하고, 1시간 공심제를 지켜야 한다.
 
60. 칠성사 중에서 우리가 줄 수 있는 성사는? 
      <답> 세례성사(임종대세)
 
61. 고백성사란? 
     <답> 영세 한 후, 범한 죄를 사하는 성사.
 
62. 고백성사를 잘 받기 위하여 5가지 필요한 조건은? 
      <답> 반성, 통회, 결심, 고백, 보속
 
63. 고백성사의 재료는? 
      <답> 죄. ※ 성찰, 통회는 밖에서 하고, 고백소로 죄를 가지고 들어가야 한다.
 
64. 고백소에서 죄만 솔직히 다 고백하고 나오면 용서받을 수 있습니까? 
      <답> 반드시 사죄경을 받고 나와야 한다.
             ※사죄경: 주께서 원하신다면 나도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당신의 죄를 용서합니다.
 
65. 우리가 세례를 주기 전에 가르쳐야 할 4가지 믿을 교리는? 
    <답>  천주존재, 상선벌악, 강생구속, 삼위일체(믿음이 있을 때)
 
66. 세례성사 때 꼭 있어야 할 재료는? 
     <답>  물
 
67. 세례는 누구의 이름으로 어떻게 주는가? 
      <답>  나는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 )( )에게 세례를 줍니다.
                (정확하게 해야 한다.)
 
68. 우리나라의 주보는 누구입니까? 
     <답> 성모 마리아.
 
69. 교회의 사회적 가르침 중, 그리스도교적 세가지 기본요구는? 
      <답>  믿음, 소망, 사랑.
 
70. 하느님의 소리는 무엇인가? 
       <답> 양심.
 
71. 예수께서 성체성사를 세우신 때는? 
        <답>최후의 만찬 때.
 
72. 예수 그리스도는 빵과 포도주의 형상 안에 계시다고 하는데, 이 빵과 포도주가 의미하는 것은? 
        <답>  성체와 성혈
 

출처 : 선교사랑방
글쓴이 : 안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