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교리

[스크랩] 가톨릭 일반 교리 종합 문제풀이(169-1) (1-36)

사랑의 기쁨 2012. 12. 7. 15:07

가톨릭 일반 교리 종합 문제풀이(169-1) (1-36)

      
1. 천주교회에서 정한 공식 명칭은?
     <답> 가톨릭
 
2. 교회의 전통에서 교우가 자녀를 낳으면 유아세례를 시켜야 한다. 그 기간은? 
       <답> 30일
 
3. 부모가 조당 중일 때 자녀에게 세례를 줄 수 있나? 
      <답> 조당자 자녀에게는 세례를 유보하는 것이 보통이다.
 
4. 견진시 대부모에 대한 자격은? 
       <답> 16세 이상된 사람으로서 견진을 받은 사람이 대부모를 설 수 있다
 
5. 세례 증명서는 어디서 발급 받을 수 있나? 
        <답> 자기가 세례를 받은 본당에서 발급받을 수 있다.
 
6. 환자에게 주는 대세는 누가 줄 수 있나? 
       <답> 대세는 누구나 줄 수 있다.
 
7. 환자가 대세를 받은 후 건강이 회복되면? 
      <답> 교리를 배운 후 보례를 해야 다른 성사를 받을 수 있다.
 
8. 성수를 축복할 때 소금을 넣어야하나? 
       <답>  소금을 넣어도 되고 안 넣어도 된다.
 
9. 견진성사를 받기 위한 자격은? 
      <답>  분별력이 있는 나이가 된 사람이면 견진을 받을 수 있다.
 
10. 견진 대부모의 자격은? 
      <답> 세례 때의 대부모가 서는 것이 바람직하다.
 
11. 첫 영성체를 허락할 수 있는 권한은? 
      <답>  첫 영성체를 허락하는 것은 본당신부의 권한이다.
 
12. 고해성사를 올바로 받기 위해서는? 
       <답> 기도서의 순서는 하나의 예시이므로 그대로 하지 않아도 된다.
 
13. 자주 고백하는 사람의 판공성사는? 
     <답> 자주 고백하는 사람도 판공은 꼭 보아야한다.
 
14. 성사후 판공성사표는 어디에 내야하나? 
      <답> 성사표는 성사를 본 후, 교적이 있는 자기 본당에 내야 한다.
 
15. 일년 중 일체의 성사를 집전할 수 없는 날은? 
      <답> 성 금요일.
 
16. 바오로는 12사도인가? 
      <답> 아니다.
 
17. 교회법상의 성직자는? 
      <답> 부제. 사제. 주교. 교황을 말한다.
 
18. 혼인성사를 받기 위해서는? 
      <답> 남자 16세, 여자 14세가 만료된 사람.
 
19. 무효가 되는 혼인은? 
      <답> 영세한 신자가 관면없이 외인과 맺은 혼인.
 
20. 화장을 하는 사람의 장례식은? 
     <답> 본인 의사 없이 화장을 한 사람이라면 장례식을 할 수 있다.
 
21. 금식과 금육에 대하여? 
      <답> 금식은 만 18세부터 60세까지, 금육은 만 14세부터 죽을 때까지 지킬 의무가 있다.

               그러나 임산부에게는 금식과 금육의 의무가 없다.
 
22. 금육은? 
       <답> 금육날 고기와 고기국물을 먹지 않는다.
                생선과 계란, 우유는 먹어도 된다. 자기집에서 만들어 먹지 않고 외식 때는 먹어도 된다.
 
23. 일년 중 금식의 의무가 있는 날은? 
       <답> 재의 수요일과 성 금요일.
 
24. 이사 갈 때 교적은? 
        <답> 소속본당 사무장에게 직접 가서 알리고, 밀린 교무금도 확인하여 완납한다.
 
25. 세계 교회 속에서 우리나라에서만 의무축일로 지내는 날은? 
        <답> 천주의 성모 마리아 대축일(1월 1일)
 
26. 예수 부활 대축일 미사때 사제가 입는 제의의 색깔은? 
       <답> 흰색.
 
27. 교무금은 누가내나? 
      <답> 교무금은 십일조와 같은 말로써 신자라면 누구나 내야 한다.
 
28. 주일 헌금은? 
      <답> 주일헌금은 각자가 일주일동안 준비한 희생금을 바친다.
 
29. 주일 미사 참례가 면제되는 사람은? 
       <답> 중환자실을 비워 놓을 수 없는 사람.
                성당이 없는 곳의 군인들.
                공무에 피치못할 사정이 있어서 출장중에 있는 사람.
 
30. 영성체 할 때의 자세는? 
      <답> 앞사람이 성체를 받을 때 여유 있게 고개숙여 인사한다. 왼손을 오른손으로 바쳐, 왼손으로 받는다
              (손바닥을 편다).손바닥 위에 받은 성체를 입에 모시기까지 눈을 성체에 집중한다.
 
31. 미사참례 하러 올 때의 자세는? 
       <답>  성가책, 매일미사, 가톨릭 기도서를 가지고 온다. 몸과 마음을 단정히 하고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는다.

                 늦어도 미사 시작전 10분전에 도착하도록 서둘러 출발한다.
 
32. 미사참례 자세는? 
      <답> 우선 앞자리로 가서 앉는다. 성가 부르기와 기도와 응답에 정성을 모은다.
               평화의 인사를 여러 사람과 기쁘게 나눈다.

 
33. 불우 이웃을 돕는 태도는? 
        <답> 물질보다는 기도로, 정기적으로 생활비에서 절약하여 성금을 지원하고 있다.
 
34. 사순시기의 40일은 어떻게 정해지나? 
       <답> 재의 수요일부터 부활 축일 전 6주간 중에서 주일을 뺀 40일간이다.
 
35. 성서를 어떤 자세로 읽을 것인가? 
       <답>  매일 조금씩이라도 읽으며 마음에 와 닿는 부분에서 잠깐 묵상한다.
 
36. 그리스도의 빠스카 사건과 대비될 수 있는 구약의 사건은? 
        <답> 출애급.
 

출처 : 선교사랑방
글쓴이 : 안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