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가톨릭 신구약성서 종합 교리 문제풀이(48-3)(41-60)
가톨릭 신구약성서 종합 교리 문제풀이(48-3)(41-60)
41. 성체 성사는 언제, 누구에 의해서 세워 졌나요? (답) (최후의 만찬때 예수님께서 세우심)
42. 축성된 빵과 포도주의 형상 안에 살아계시는 예수님의 몸과 피를 무엇이라 합니까?
(답)(성체와 성혈)
43. 성체 성사를 이루는 미사 성제는 (① )와 ( ② )로 거행됩니다. (답) ① 말씀 전례, ②성찬 전례
44. 자신이 스스로 큰 죄를 지었음을 의식하면서 영성체를 하면 ( )라고 하는 커 다란 죄를 짓게 됩니다.
. (답) 모령성체
45. 성체를 모시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 합니까 ?
(① 1시간 전 공복재를 지킬 것 ② 대죄가 있을때 고해성사 )
46. 죽음의 위험에 놓인 신자에게 마지막으로 모시게 해 주는 성체로서 병자가 완전히 의식을 잃기 전에
성체를 모실 수 있도록 준비시켜 주며 공복재를 지키지 않아도 되는 이 성체는 무엇입니까?
(답) ( 노자성체)
47. 우리는 세례성사를 받은 후에 죄를 짓더라도 진심으로 뉘우쳐 하느님께 죄를 고백하고 용서를 받는
성사로서 이 성사를 통해 하느님과 이웃과 화해함으로써 다시 기쁨과 평화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성사는 무엇입니까? (답) 고해성사(화해성사,위로,평화,치유성사)
48. 고해 성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입니까? (답) 통회(뉘우침)
49. 만일 고해성사를 받을 때 기억에 떠오르는 중대한 죄들 가운데 어느 것을 고의로 숨기거나 아무런 통회도
하지 않고 고백하였다면 어떤 죄를 짓게 됩니까? (답) (모고해(모고백) )
50. 고해 성사의 요소에는 죄를 알아내는 성찰과 자신의 죄를 뉘우치는 (① )와 다시는 죄를 짓지 않겠다는
결심과 사제 앞에 가서 자신의 죄를 아뢰고 사죄경을 통해 용서받 는 (② )과 죄의 댓가로서 사제가
정해주는 (③ )을 함으로서 고해성사가 이 루어집니다. (답) ①통회, ②고백, ③보속.
51. 병자성사는 사제 (주교와 신부)가 집전하며, 이 성사의 주요 예식은 병자의 ( )와 양손에 성유를 바르고
병자에게 필요한 은혜를 청하는 기도를 바치는 것입니다. (답) 이마.
52. 하느님과 세상을 위하여 봉사하도록 특별히 선발된 사람들을 서품하고 그들에게 직무를 수여하는
예식으로써 주교의 안수와 장엄한 축성 기도로 거행되는 이 성사는 무엇입니까?
(답) (성품(신품)성사)
53. 성품성사에는 세 품계가 있습니다. 무엇일까요? (답) ①주교품, ②사제품, ③부제품
54. 혼인의 특성은 (① )과 (② )입니다. (답) ①단일성, ②불가해소성
55. 주님께서 직접 가르쳐 주신 기도로써 기도 가운데 가장 완전하고 으뜸가는 기도는 무엇인 가요?
(답) ( 주님의 기도)
56. 우리가 하느님과 나누는 직접적인 대화이고, 이것을 하는 것은 그리스도인 생활의 중심이 되는 활동이며
신자의 표시입니다. 우리는 이것으로써 하느님을 흠숭하고 하느님께 감사 드리며 용서를 청하고 필요한
은총을 구하며 하느님께 사랑을 드립니다. 이것은 무엇입니까? (답) (기도)
57. 주님의 기도에 담긴 일곱가지 청원입니다. 빠진 부분을 써 넣으세요.
① 아버지의 이름이 거룩히 빛나시며 ②
③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 지소서.
④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 ⑤
⑥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 ⑦
58. 가브리엘 천사가 마리아께 알려준 예수님의 잉태와 강생의 신비를 묵상하는 기도이며, 아 침, 낮, 저녁에
세 번의 종소리를 듣고 하는 기도로서 이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이 기도는 무슨 기도입니까?
(답) ( 삼종기도)
59. 하느님의 자녀가 된 그리스도인의 삶의 원리입니다. 대신덕, 향주 삼덕이라고도 불리는 이것은 무엇입니까?
(답) (① 믿음, ②희망, ③ 사랑)
60. 이것은 의무라기 보다는 사랑과 희생의 행위로써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을 묵상하며 자신에게 필요한
것은 절제하고 희생하여 사랑을 나누는데 참된 의미가 있으며 재의 수요일, 매주 금요일에 지켜집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답) ( 금식재와 금육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