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교리

[스크랩] 가톨릭 신구약성서 종합 교리 문제풀이 (45-2) (21-40)

사랑의 기쁨 2012. 12. 13. 20:53

가톨릭 신구약성서 종합 교리 문제풀이 (45-2) (21-40)  

          

21. 하느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광야에서 살리기 위하여 베풀어주신 은총이 아닌 것은?   (답): 4)
     (1) 마라에서 쓴 물을 단물로 만드셨다.
     (2) 만나와 메추라기를 내려 주셨다.
     (3) 바위에서 물이 솟아났다
     (4) 60일 간의 가뭄에 비를 내려 주셨다
        
22. 사도 바오로의 첫번째 서간으로 고린토에서 쓴 서간의 이름은 무엇인가?   (답): 1)
     (1) 데살로니카 전서      (2) 에페소서       (3) 로마서       (4) 고린토서
           
23. 사순시기 동안 신자는 기도와 희생의 한 가지로 십자가의 길을 자주 바쳐야 하는데,
    이에 대한 설명 중 적당치 않은 것은?    (답): 3)
     (1) 이 기도는 예수께서 십자가를 지고 가신 길에서부터 나온 것이다.
     (2)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의 중요한 장면을 묵상함으로써 영신 생활에 도움을 주는 기도이다.
     (3) 십자가의 길은 14처가 모셔져 있는 성당이나 공적인 기도 장소에서만 할 수 있다.
     (4) 파스카의 신비를 생각하여 예수님의 부활 장면을 포함하여 15처까지 묵상하기도 한다.
        
24. 루가 4, 14-22을 보면 예수님은 공생활을 시작하면서 복음서를 읽는 사람들에게 공생활의 근본 성격을
    강조하기 위해 구약성서를 인용하신다.  어떤 성서를 인용하시는가?  (답): 1)
    (1) 이사야서     (2) 예레미야서      (3) 아가서       (4) 신명기
         
25. 구약에 있는 교훈서 중의 하나로 하느님의 정의와 인간의 고통에 대한 대답을 알려 주시는 즉 의로우신 하느님은
     왜 의인에게 고통을 주시는가를 가르쳐 주는 책으로 모두 42장으로 되어 있는 책은? (답): 1)
      (1) 욥기       (2) 바룩      (3) 토비트       (4) 다니엘
               

26. 하느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광야에서 살리기 위하여 베풀어주신 은총이 아닌 것은?   (답): 4)
     (1) 마라에서 쓴 물을 단물로 만드셨다.
     (2) 만나와 메추라기를 내려 주셨다.
     (3) 바위에서 물이 솟아났다
     (4) 60일 간의 가뭄에 비를 내려 주셨다
        
27. 사도 바오로의 첫번째 서간으로 고린토에서 쓴 서간의 이름은 무엇인가?   (답): 1)
     (1) 데살로니카 전서      (2) 에페소서       (3) 로마서       (4) 고린토서
           
28. 사순시기 동안 신자는 기도와 희생의 한 가지로 십자가의 길을 자주 바쳐야 하는데,
    이에 대한 설명 중 적당치 않은 것은?    (답): 3)
     (1) 이 기도는 예수께서 십자가를 지고 가신 길에서부터 나온 것이다.
     (2)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의 중요한 장면을 묵상함으로써 영신 생활에 도움을 주는 기도이다.
     (3) 십자가의 길은 14처가 모셔져 있는 성당이나 공적인 기도 장소에서만 할 수 있다.
     (4) 파스카의 신비를 생각하여 예수님의 부활 장면을 포함하여 15처까지 묵상하기도 한다.
        
29. 루가 4, 14-22을 보면 예수님은 공생활을 시작하면서 복음서를 읽는 사람들에게 공생활의 근본 성격을
    강조하기 위해 구약성서를 인용하신다.  어떤 성서를 인용하시는가?  (답): 1)
    (1) 이사야서     (2) 예레미야서      (3) 아가서       (4) 신명기
         
30. 구약에 있는 교훈서 중의 하나로 하느님의 정의와 인간의 고통에 대한 대답을 알려 주시는 즉 의로우신 하느님은
     왜 의인에게 고통을 주시는가를 가르쳐 주는 책으로 모두 42장으로 되어 있는 책은? (답): 1)
      (1) 욥기       (2) 바룩      (3) 토비트       (4) 다니엘
               

31. 다음은 마르코 복음에서 예수님이 당신 곁에 있게 하신 열두 사도의 이름입니다. 빈칸에 맞는 말을

       서 넣으십시오.
     예수께서는 열둘을 뽑아 사도로 삼으시고 당신 곁에 있게 하셨다. 이렇게 뽑으신 열 두 사도는 (       )라는

     이름을 붙여주신  시몬과 제베대오의 아들 (       )와 그의 동생 (    ), 그리고 (         ) (          ) (     ) 

     (    )(      )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 (          ) 혁명당원 (          ), 그리고

     예수를 팔아넘긴 가리옷 사람 (        )이다.
     (답)  베드로, 야고보, 요안, 안드레아, 필립보, 바르톨로메오, 마태오, 토마, 타대호, 시몬, 유다
                    
32. 다음의 씨 부리는 사람의 비유를 바르게 연결하시오.
      ① 길바닥     ㉠   •      ㉠ 사탄에게 금방 빼앗겨 버리는 사람
      ② 돌밭        ㉢   •      ㉡ 삼십 배, 육십 배, 백 배의 열매를 맺는 사람
      ③ 가시덤불  ㉣   •      ㉢ 환난이나 박해를 당하면 곧 넘어지는 사람
      ④ 좋은 땅    ㉡   •      ㉣ 세상 걱정과 재물의 유혹으로 열매를 맺지 못하는 사람
            
33. 에리고의 소경 바르티매오가 예수님의 부르심을 듣고 취한 태도는?  (답) 3
      ① 눈을 부릅뜨고 화를 내며 예수게 간다
      ② 새끼 나귀를 끌러 마을로 들어간다
      ③ 겉옷을 벗어 버리고 벌떡 일어나 예수께 간다.
      ④ 제자들의 손에 이끌려 예수께 간다.
         
34. 누구든지 ‘이 산더러 번쩍 들려서 저 바다에 빠져라’하더라고 그대로 될 것이라는 말씀은

       무엇을 강조하는가? (답)  4
      ① 사랑        ② 희망          ③ 기도         ④ 믿음
           
35. 즈가리야의 입이 열리고 혀가 풀리게 된 순간은? (답)  2
      ① 아기를 낳은 순간          ② “아기 이름은 요한”이라고 쓴 순간
      ③ 아기 할례식을 거행한 순가     ④ 동네 사람들이 경탄해 하는 순간
         
36. 다음은 누구의 예언인가? (답)   3
  “주여, 이제는 말씀하신대로 이 종은 평안히 눈감게 되었습니다. 주님의 구원을 제 눈으로 보았습니다.
    만민에게 베푸신 구원을 보았습니다. 그 구원은 이방인들에게는 주의 길을 밝히는 빛이 되고 주의 백성
    이스라엘에게는 영광이 됩니다.”
     ①  안나       ②  요셉       ③  시므온      ④  마리아
       
37. 루가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님의 족보는? (답)   2
      ①  마리아에서 아담까지        ②  예수님에서 하느님까지
      ③  아브라함에서 요셉까지     ④  요셉에서 아담까지
           
38. 루가복음 6장의 말씀이다. 빈칸에 알맞은 말을 보기에서 찾아 적으시오.
       <보기> -  겉옷  티   기도   속옷   축복   자비로운   사람   들보
     ① 너희를 저주하는 사람들을 (①    )해주어라. 그리고 너희를 학대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②    )해주어라.
     ② 누가 빰을 치거든 다른 빰마저 돌려대 주고 누가 (③     )을 빼앗거든  (④      )마저 내어 주어라
            (답)    ①축복,      ②기도 ②          ③겉옷,         ④속옷
                
39. 예수께서 회당장 야이로의 딸을 살리실 때 함께 있었던 제자들은? (답)  1
     ①  베드로, 야고보, 요한         ②  필립보, 안드레아, 토마
     ③  베드로, 안드레아, 야고보     ④  야고보, 요한, 안드레아
           
40. 예리고의 세관장 자캐오가 예수님을 만나고 난 뒤에 변화된 모습은?  (답) 4
     ① 예수께서 자기 죄를 용서해 주실 것이라 믿고 구원을 받는 것에 감사하여 큰 예물을 자랑한다.
     ② 예수께서 주님이시라는 사실을 깨닫고 예수께 나와 엎드려 절을 한다.
     ③ 예수께서 불러 주신 것에 너무나 감사하여 예수님과 제자들을 찾아가 성대한 잔치를 벌인다.
     ④ 재산의 반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주고 남을 속여 먹은 것이 있다면 네 갑절로 갚아주겠다고 약속한다. 
         
 

다음 계속

 

출처 : 선교사랑방
글쓴이 : 안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