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교리

[스크랩] 가톨릭 신,구약성서, 종합교리 문제풀이(78-2) (21-40)

사랑의 기쁨 2012. 12. 10. 20:52

 

가톨릭 신,구약성서, 종합교리 문제풀이(78-2) (21-40)

 

21. 성서를 읽을 때 주의할 점이 아닌 것은?   답  4)

      1) 성서는 자연과학이나 역사를 가르치기 위해 쓴 책이 아님을 유의한다.

      2) 성서를 읽을 때 그 시대의 사고방식이나 풍습을 생각한다.

      3) 교회가 가르치는 바가 어떤지 살펴본다.

      4) 자기 머리에 떠오르는 생각을 성령의 영감으로 간직한다.

 

22. 성사의 요소가 아닌 것은?   답  1)

      1) 성사 집행자의 성덕,             2) 은총을 표시하는 외적 표지

      3) 예수 그리스도의 직접 제정,   4) 내적 은총

 

23. 성세성사의 은총이 아닌 것은?  답  3)

       1) 원죄, 본죄, 죄벌을 용서받는다.

       2) 하느님의 자녀가 된다.

       3) 그리스도의 군사가 된다.

       4) 성령의 궁전이 된다.

                                                           

24. 세례명을 받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답   2)

       1) 많은 성인 중에서 주보성인으로 모시기 위함이다.

       2) 하느님의 백성으로서 새 이름으로 산다는 뜻이다.

       3) 이름의 성인처럼 산다는 뜻이다.

       4) 천주교 신자임을 드러내기 위함이다.

 

25. 그리스도인의 세 가지 사명이 아닌 것은?  3)

      1) 그리스도의 예언직에 참여

      2) 그리스도의 왕직에 참여

      3) 그리스도의 교훈직에 참여

      4) 그리스도의 사제직에 참여

 

26. 성체성사 교리에 맞는 것은?  답  4)

     1) 성체에는 그리스도의 몸만 계신다.

     2) 성체에는 그리스도의 몸과 피만 계신다.

     3) 성체에는 그리스도의 몸과 피와 영혼만 계신다.

     4) 성체에는 그리스도의 몸과 피와 영혼과 천주성이 계신다.

 

27. 지난 교황요한바오로 2세께서 교회는 21세기 영적생활과 선교사명을 위해 꼭 필요하다며 

      005년 10월 2~29일 로마에서 열리는 제 11차 세계 주교시노드 정기 총회까지 1년을

      무슨 해로 선포하셨는가?   답    3)

      1) 선교사명의 해,      2) 청소년의 해,      3) 성체성사의 해,      4) 구원의 해

        

28. 미사의 설명에 틀린 것은? 답   3)

      1) 미사는 성체성사의 집전이다.

      2) 미사는 가장 완전한 제사이다.

      3) 미사는 가장 좋은 신심행사이다.

      4) 미사는 모든 전례의 중심이다.

      

29. 고해성사의 순서에 가장 맞는 것은?   답  2)

       1) 성찰-통회-정개-고백-보속-용서

       2) 성찰-통회-정개-고백-용서-보속

       3) 성찰-고백-통회-정개-용서-보속

       4) 성찰-통회-고백-용서-정개-보속

        

30. 혼인의 설명에 맞지 않는 것은?   답  4)

       1) 혼인은 하느님이 직접 맺어 주시는 인연이다.

       2) 혼인은 한번 제대로 맺어지면 풀리지 않는다.

       3) 혼인은 한 남자와 한 여자의 맺음이다.

       4) 혼인은 사랑으로 맺어지기 때문에 사랑이 없어지면 풀린다.

        

31. 주일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3)

       1) 일요일을 주님의 날이라 부른다.

       2)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경축하는 날이다.

       3) 노동을 하지 않고 노는 날이다.

       4) 미사에 참례하고 주님께 영광을 드리는 날이다.

       

32. 우리나라 1백3위 성인 중에는?      2) 

      1) 프랑스 선교사가 10위계시고, 우리나라 분들이 93위계신데 93위 중에는

          남성이 한분 더 많다.

      2) 프랑스 선교사가 10위계시고, 우리나라 분들이 93위계신데 93위 중에는

          여성이 한분 더 많다.

      3) 프랑스 선교사는 한 분도 안계시고 모두 우리나라 분들인데 그 중에는      

          남성이 한분 더 많다.

      4) 프랑스 선교사는 한부도 안계시고, 모두 우리나라 분들인데 그 중에는

          여성이 한분 더 많다.

        

33. 성모승천 대축일은 8월 15일이며, 예수 승천 대축일은 예수 부활 대축일 후 7번째 되는 주일입니다.

     그리고 예수 성탄 대축일은 12월 25일입니다.  그렇다면 성모 성탄 대축일은 언제일까요?     (9월 8일 )

        

34. 기도 중에 많이 드렸을 "내 영혼이 주를 찬송하며. . ."로 시작하는 성모의 찬송가를 라틴어로 마니피캇이라고

     부릅니다. 그러면 이 마니피캇은 4복음서 중 어느 복음서에 나올까요?     (루가 복음서 )

※ 루가 복음 1장 46절에서 56절에 나와 있습니다.

        

35. 묵주 기도를 할 때, 5단까지 다 드리게 된다면, 과연 성모송은 몇 번이나 드리게 될까요? (53번 )

 

36. 5단까지 다 있는 묵주에서 십자가를 제외하면, 묵주 알은 과연 몇 알이나 될까요? (59알 )

        

37.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일까요? 이는 14세기 신심가들에 의해서 시작되었는데, 성서에 근거해서 예수님의

     고통과 함께 성모님의 고통을 묵상하였습니다. 이런 성모님의 고통을 무엇이라고 부를까요?  ( 성모 칠고 )

※ 성모 칠고에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성모 통고회"에서 묵상하는 성모 칠고는 시메온의 예언(루가 2,34-35),

     이집트 피난(마태오 7,13-21),삼일 동안 예수를 잃으심 (루가 2,41-50), 예수님과 함께 갈바리아로 오르심

     (요한19,17), 예수의 죽으심 (요한19,18-30), 예수님을 십자가에서 내리우심(요한 19,39-40) 예수님께서 무덤에

    묻히심(요한 19,40-42)입니다.

        

38.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돌아가실 때, 성모님을 당신의 사랑하는 제자에게 맡기시며  "네 어머니이시다."라고

      말씀하셨는데, 그 제자는 누구일까요? (  요한  )

※ 요한복음 19장 26절에 나옵니다. 또 여기에는 예수님께서 성모님에게 요한을 가리키며 "당신의 아들입니다.

     "라고 말씀하셨습니다.

       

39. 우리는 성서 안에서 많은 부분 성모 마리아를 예형(豫形)적으로 해석합니다.

     예컨대, 교회는 아담으로 말미암아 이 세상에 죄악이 들어왔으나 제 2의 아담인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이 세상에 구원이 도래했음을 선포합니다. 그러  창세기에서 '사탄의 상징인 뱀의 머리를 짓밟을 여인'으로

     예표 되는 마리아에 해당 되는 여인은 누구일까요? (하와(에와  )

        

40. "성모의 원죄 없으신 잉태"의 사도요 신학자로 불리는 폴란드 태생의 이성인은 1917년 '무염 성모의 기사회'를

       조직하여서 "온갖 대중매체를 이용해 교묘히 위장한 무신론에 대응하는 치료약은 무염시태이신 성모님께

       대한 봉헌임"을  설파하여 많은 호응을 얻었습니다. 그는 폴란드의 무염 성모 마을의 원장으로  있던 중,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인하여 체포되어 악명 높은 아우슈비츠 노 수용소에 감금되었습니다. 그는 어느

       죄수의 탈출로 인한 대가로 아사 감방으로  끌려가는 어느 기혼자의 절규를 듣고 자신이 그 사람 대신으로

       아사 감방으로 갔으나 기적적으로 목숨을 연명하다가 결국은 석탄산 주사를 맞고 순교한 분으로 우리에게 더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 성인은 누구일까요?  (성 막시밀리아노 꼴베  )

 

 

 

 

 

 

 

출처 : 선교사랑방
글쓴이 : 안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