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교리

[스크랩] 가톨릭 신,구성서, 종합교리 문제풀이(130-1) (1-40)

사랑의 기쁨 2012. 12. 10. 19:57

가톨릭 신,구성서, 종합교리 문제풀이(130-1) (1-40)
 
마태오 복음      
1. 마태오 복음에서 이 사람은 예수님께 “선생님은 살아 계신 하느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십니다.” 라고 신앙고백을
   하였으며, 예수님께서 잡히시던 날에는 세 번이나 모른다고 부인한 사람입니다. ‘반석’이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이 제자는 누구입니까?    베드로
      
2. 형제가 내게 죄를 범하면 몇 번이나 용서해주어야 하느냐는 질문에 예수님께서는 이 숫자에 이 숫자의 열 배를
    곱해서라도 용서하라고 대답하십니다. 마르코 8장 ‘4천명을 먹이신 기적’에서는 예수님께서 이 숫자만큼의 빵으로
    군중을 배불리 먹이셨고 그 부스러기 또한 이 숫자만큼의 바구니가 남았다는 기적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성서에서
    ‘완성’을 의미하는 이 숫자는 무엇입니까?(마태 18, 21-22)    7
      
3. 로마 금돈의 명칭으로, 연기자를 가리키는 탈렌트의 어원이기도 한 단어는 무엇입니까?(마태 18, 23)  
       ① 세겔    ② 데나리온     ③ 달란트     ④ 달러
     
4. 사람들이 예수님께 이 사람들을 데리고 와서 머리에 손을 얹어 기도해 주시기를 청하였습니다. 제자들이 그들을
    나무라자 예수님께서는 “이 사람들이 나에게 오는 것을 막지 말고 그대로 두어라. 하늘 나라는 이런 사람들과 같은
    사람들의 것이다.” 하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사람들은 누구입니까?(마태 19, 13-15)   어린이
      
5. 유다가 예수님을 대사제들에게 넘겨줄 때에 받은 은전은 몇 닢 이였나?(마태 26, 15)    30닢
       
6. 예수님께서 대사제들과 백성의 원로들이 보낸 무리에게 잡히시기 전 제자들과 함께 이곳에 가셔서 제자들에게서
    조금 더 나아가 땅에 엎드려 기도하셨다. 이곳은 어디입니까?(마태 26, 36-46)    게세마니
       
7. 명절이 되면 총독 빌라도는 군중이 요구하는 대로 죄수 하나를 놓아주는 관례가 있었다. 예수님과 함께 이 죄수도
    있었는데 군중들은 이 죄수를 놓아주기를 원했다. 이 죄수의 이름은 무엇입니까?(마태 27, 16-17)  
     ①빠라바라바라밤   ② 발바라      ③ 바라보아      ④ 바라빠
       
8. 헤로데 왕의 생일날 헤로데의 동생 필립보의 아내 헤로디아의 딸이 잔치 소님들 앞에서 춤을 추어 헤로데를 매우
    기쁘게 해주었습니다. 그래서 헤로데는 소녀에게 무엇이든지 청하는 대로 주겠다고 맹세하며 약속하였습니다.
    소녀가 요구한 것은 무엇입니까? (마태 14, 1-14)    세례자 요한의 목
     
9. 다음에 들어갈 말은 무엇입니까?
      “나를 따르려는 사람은 누구든지 자기를 버리고 제 ○○○를 지고 따라야 한다.”(마태 16, 24)    십자가
       
10. 성서에서 믿음에 비유되는 씨앗입니다. 크기는 아주 작으나 자라나면 잎이 무성한 큰 나무가 됩니다. 예수님께서는
     “너희에게 이 씨 한 알만한 믿음이라도 있다면 이 산더러 ‘여기서 저기로 옮겨져라’ 해도 그대로 될 것이다.” 라고
      말씀하십니다. 이 씨앗은 무엇입니까?(마태 17, 9-20)    겨자씨
        
11.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시고 골고타 산에 오르던 중 총독의 병사들에게 붙들려 억지로 예수님의 십자가를 지고
     가게 된 사람은 누구입니까?(마태 27, 32)    시몬
      
12. 예수님의 부활 소식을 제자들에게 알리려고 급히 달려가는 여인들에게 나타나신 예수님께서 가장 먼저 하신

      말씀은 무엇입니까?(마태 28, 1-10)  답  평안하냐?---2) 두려워 하지 말라, 형제들에게 갈릴레아로 가라고

       전하여라. 그들은  거기서 나를 만나게 될 것이다.
       
13. 잘 듣고 답하십시오.
      “너는 결코 유다의 땅에서 가장 작은 고을이 아니다. 내 백성 이스라엘의 목자가 된 영도자가 너에게서 나리라.”
       예언서의 기록대로 하느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께서 사람이 되셔서 우리 가운데 오신 이곳은 어디입니까?
        (마태 2, 1-12)    베들레헴
       
14. 들려드리는 지문이 가리키는 공통된 단어가 무엇인지 쓰십시오.   말씀
      ․‘사람이 빵으로만 사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입에서 나오는 모든 ○○으로 살리라.’(마태 4, 1-11)
      ․한 ○○만 하시면 제 하인이 낫겠습니다. (마태 8, 5-13)

15. 마태오 7장 12절에서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말씀하시는 율법과 예언서의 정신은 무엇인지 쓰십시오(마태 5, 1-7, 12)
         “너희는 남에게서 바라는 대로 남에게 해 주어라. 이것이 율법과 예언서의 정신이다.”
        
마르코

16. 마르코 복음 전체에 해당되는 제목으로서 복음선포의 내용이자 신앙고백인 다음 구절에 들어갈 말은 무엇인지
     차례로 쓰세요.(마르 1, 1)
     “○○○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의 시작”    하느님, 복음(기쁜 소식)
        
17. ‘복된 소식’ 이자 ‘기쁜 소식’ 으로 풀이되며, 예수님께서 말씀과 행적을 통하여 몸소 선포하신 하느님 나라에 관한
      내용이자 예수 그리스도에 관해 선포된 내용입니다. 다시 말해 예수님은 ‘이것’ 을 선포하는 주체도 되시고, ‘이것’
      의 내용으로 선포되는 객체도 되십니다. 하느님의 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에 관한 이 모든 것을 총체적으로 일컫는
      말인 ‘이것’은 무엇입니까?(마르 1, 1)   복음
      
18. 구약성서에서부터 ‘이곳’ 은 시련의 장소이면서 동시에 하느님을 만나는 장소이자 구원의 장소였습니다.
      요한 세례자가 이런 의미를 지닌 ‘이곳’ 에서 세례를 베푼 것은 당시 사람들로 하여금 구세주이신 예수님을 맞이하도록
      준비시키는 것이었습니다. ‘이곳’ 은 어디입니까?(마르 1, 4)    광야, 갈릴레아 나자렛 요르단강(예수님 세례)
      
19. 죄는 하느님을 거부하고 등지는 것이며, 이런 죄인이 하느님께 돌아서는 것, 즉 ‘이것’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것’ 을 한 사람은 죄 사함을 받았기 때문에 하느님과의 관계가 정상화된다. ‘이것’, 곧 내적 변화를 외적으로
      드러내는 상징적인 행위가 곧 세례입니다. 광야에서 세례자 요한이 선포하기도 ‘이것’ 은 무엇입니까?(마르 1, 4)
           회개
      
20. 성서에 표현된 세례자 요한의 생활양식은 전형적인 사막의 유목민 생활상입니다. 특히 낙타 털옷, 가죽띠 등의
     옷차림은 유다인들에게 전설적 인물로 알려진 ‘이 예언자’ 의 모습을 연상시킵니다(말라 3, 23-24). 복음서 저자는
     이로써 요한 세례자가 마지막 예언자로서 재림한 ‘이 예언자’ 임을 말하고 있습니다. ‘이 예언자’ 는 누구입니까?
      (마르 1, 6)   엘리야
        
21. 성서의 세계에서 한 세대를 나타내는 수입니다. 구약의 이스라엘 민족은 어느 기간동안 일찍이 이집트 살이 시대에는
     상상도 못하던 시나이에서의 고난을 통해 교육을 받아야 했습니다. 이로부터 이 수가 ‘고행기간, 시련기간’을 뜻하게
     되었습니다. 예수님 자신도 공생활의 준비로 광야에서 어느 기간을 단식을 하셨습니다. 이 기간들에 해당하는 수는
     무엇입니까?(마르 1, 13)    40
        
22. 예수님께서 처음으로 부르신 제자이며, 베드로라는 이름을 붙여주신 이 사람은 누구입니까?
      (마르코 1, 16-20)    시몬
     
23. 예수님께서 처음으로 부르신 제자 4명은 무엇을 하던 사람들입니까?(마르코 1, 16-20)    어부
       
24. 바리사이파 율법학자들은 예수님께서 알패오의 아들 세관 레위의 집에서 음식을 잡수시자 비판의 시선으로
      바라봅니다. 그들에게 예수님께서는 “성한 사람에게는 의사가 필요하지 않으나 병자에게는 필요합니다.
      나는 의인을 부르러 온 것이 아니라 ○○을 부르러 왔다.” 하고 대답하셨습니다. 여기서 ○○에 들어갈 낱말은
      무엇입니까?(마르코 2, 17)   죄인
       
25. 가나 혼인 잔치에서 예수님께서는 이것을 통해 첫 기적을 드러내셨습니다.(요한 2, 1-11)
      그리고 낡은 가죽부대에 새로 만든 이것을 넣는 사람은 없다. 그러면 낡은 가죽부대가 터져버려 가죽부대도 이것도
      다 버리게 됩니다.(마르코 2, 22)   예수님께서는 당신 자신을 이것을 만드는 열매를 맺는 나무요, 우리는 그 나무의
      가지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은 무엇입니까?    포도주
         
26. 예수님의 말씀을 트집잡아 올가비를 씌우려는 바리사이파와 헤로데 당원 몇사람이 이 사람에게 세금을 바치는
     것이 옳은 일이냐 옳지 않은 일이냐는 질문을 예수님께 합니다. 예수님은 이 질문에 “그 사람의 것은 그 사람에게
     돌리고, 하느님의 것은 하느님께 돌려라.” 하고 대답하십니다. 이 사람은 누구입니까? (마르 12, 13-17)   카이사르
      
27. 회당장 야이로의 죽은 딸을 다시 살리실 때 예수님께서 하신 말씀으로서 ‘소녀야, 어서 일어나거라.’ 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이 말씀은 무엇입니까?(마르 5, 21-43)    탈리다 쿰
      
28. 해골산이라고도 불리며,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신 곳은 어디입니까? (마르 15, 22)   골고타
       
29.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 입성하시고 그 이튿날 베다니아에서 나올 때에 예수님께서는 시장하시던 참에 멀리서
     잎이 무성한 이 나무를 보시고 혹시 그 나무에 열매가 있나 하여 가까이 가보셨으나 잎사귀밖에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그 나무를 향하여 “이제부터 너는 영원히 열매를 맺지 못하여 아무도 너에게서 열매를 따먹지 못할
     것이다.” 하고 저주하셨습니다. 그 나무는 뿌리째 말라버렸습니다. 이 나무는 무슨 나무입니까?(마르 11. 12-14) 
           무화과나무
       
30. 씨 뿌리는 비유, 등불의 비유, 자라나는 씨의 비유, 겨자씨의 비유등 여러 비유로 예수님께서는 말씀하십니다.
     이러한 비유들은 무엇에 관한 말씀입니까?(마르4,1-32)    하늘나라
    
31. 사람들이 귀먹은 반벙어리를 예수께 데리고 와서 그에게 손을 얹어 주시기를 청하였습니다. 예수께서는 그 사람을
     군중 사이에서 따로 불러내어 손가락을 그의 귓속에 넣으셨다가 침을 발라 그의 혀에 대시고 하늘을 우러러 한숨을
     내쉰 다음 ‘열러라.’ 라는 뜻의 말씀을 하십니다. 이 말씀은 무엇입니까?(마르7,31-37)    에파타........열려라
        
32.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함께 필립보의 가이사리아 지방에 있는 마을들을 향하여 길을 떠나시던 중의 일입니다.
     “너희는 나를 누구라고 생각하느냐?” 하고 물으시는 예수님의 질문에 베드로는 자신의 신앙을 고백합니다.
      베드로의 고백은 무엇입니까?(마르8,27-30)     그리스도 이십니다.
        
33. 예수님께서는 하느님의 아들이심을 계속 감추시다가 인정하시게 됩니다. 그때가 언제입니까?(마르 14,53-62)
          붙잡혀 대사제 앞에 서서
     
34. 부활하신 예수님께서는 누구에게 처음으로 나타나셨습니까?(마르16,9-13)      막달레 여자 마리아에게
    
35. 부활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두가이파 사람들과의 토론에서 예수님께서는 구약의 한 부분을 말씀하시면서 그 말씀의
      뜻으로 사람들을 가르치십니다. ‘나는 아브라함의 하느님이요, 이사악의 하느님이요, 야곱의 하느님이다.’ 라는 이
      말씀의 뜻은 무엇입니까?(마르12,18-27)   
           하느님께서는 죽은 이들의 하느님이 아니라 살아 있는 이들의 하느님이라는 뜻이다.
       
36. 예수님께서 재난의 시작에 대해 말씀하시면서 사람들이 제자들을 붙잡아 법정에 끌고 갈 때에 무슨 말을 할까 하고
      미리 걱정하지 말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리고는 제자들이 해야 할 말을 그 시간에 일러주실 것이니 그대로 말하라고
      하십니다. 여기서 제자들의 입을 통해 말하는 이는 누구입니까?(마르 13, 3-13)    성령
        
37. 예수님께서 부자가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는 것보다는 낙타가 바늘귀로 빠져 나가는 것이 더 쉬울 것이라고 말씀하시자
     제자들은 깜짝 놀라며 그러면 구원받을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하고 서로 수군거립니다.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을
     똑바로 보시며 구원은 사람의 힘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렇다면 구원은 누구에 의해
      이루어집니까? (마르 10, 25-27)   하느님
          
루가

38. 루가 복음서의 편집원칙 네 가지는 무엇입니까?(루가 1, 3-4) 

             모든 일들을, ②처음부터, ③자세히,  ④순서대로

          

39. 세례자 요한의 부모로서, 그의 어머니는 예수님의 어머니 마리아와는 친척입니다.
     그의 아버지는 아비야 조에 속하는 사제 한 사람이며, 이 두 부부의 이야기는 노년에 이사악을 얻은 아브라함과
     사라의 이야기(창세 18, 11)를 연상시킵니다. 이 부부는 누구와 누구입니까?(루가1, 6-12)

           즈가리야와 엘리사벳
       
40. 엘리사벳이 아기를 가진 지 여섯 달이 되었을 때에 하느님께서는 이 천사를 시켜 갈릴래아 지방 나자렛이라는
     동네로 보내시어 다윗 가문의 요셉이라는 사람과 약혼한 처녀 마리아를 찾아가게 하셨습니다. 천사는 마리아에게
     성령으로 예수를 잉태할 것을 알려주고 떠나갔슶니다. 이 천사의 이름은 무엇입니까?(루가1, 26-38)   가브리엘
         

출처 : 선교사랑방
글쓴이 : 안니 원글보기
메모 :